본문 바로가기
health care

실행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핵심

by 똑맘 2023. 10. 13.
반응형

실행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핵심

실행증이란 발달적 실행장애로도 불리는데요.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감각기능이나 운동기능, 지시를 이해하는 기능 모두 정상인데도 운동 행동을 실행하는 능력에 장해가 생긴 것을 실행증이라고 합니다. 실행증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흉내 내는 것이 있습니다. 냄새 맡는 흉내, 휘파람 부는 흉내, 빨대로 빠는 흉내, 윙크하기, 망치질하는 흉내, 열쇠로 여는 흉내, 김밥 썰기 흉내 등을 하도록 하여 제대로 해내는지를 평가하는 것인데 실행증을 보이는 사람은 관찰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밑에 사진참고) 이 기사에서는 실행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적 핵심에 대하여 논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행증의 5가지 원인

① 말초기관의 감각장애(말초감각수용기관의 장애)

손이 뇌의 명령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예시입니다. 이때엔 해당기관을 터치해 주는 것만으로도 반응이 달라집니다.

② 중추신경의 감각처리속도 장애(반응속도의 차이)

느리게 반응하는 아이들이 예시인데 웩슬러 지능검사중 처리속도에 문제를 보입니다.

③ 감각처리의 종합처리능력의 장애

이는 전두엽의 정보처리 능력과 속도의 저하때문인데 전두엽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두엽 관리 기능은 인지적 유연성, 창의성, 계획력, 추상적 사고, 통찰력, 자발성, 억제력, 적절한 정서, 성격 및 사회적 행동들을 주 요소로 들 수 있는데요. 고차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손상은 일상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에 현저한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데요.욕구나 정서 표현,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에도 장해가 생겨 이전과는 다른 행동 및 성격 특성, 정서적 변화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언어 유창성 검사, 선로 잇기 검사, 스트룹 검사, 레이 복합 도형 검사, Kims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등을 통하여 전두엽 기능에 대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④ 뇌졸중, 뇌손상

뇌손상이나 혈류문제로 인해 실행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⑤ 신경퇴행성질환

치매나 파킨슨등의 운동 계획을 담당하는 뇌 영역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실행증의 증상

관찰1. 3세에 언어장애를 가진 아이가 7세 이후 보행장애를 동반하는데 이는 정상이었던 가능이 실행장애로 퇴행된 증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관찰 2. 신체운동양상이 전체적으로 정상이었으나 자폐양상이 보일 시, 실행증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관찰 3. 치매나 뇌신경손상, 뇌졸중을 앓고 있던 사람이 정상움직임을 보이다가 질병 후 행동순서등에 어려움을 겪어 멈칫하거나 느리게 실행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일반적 공통증상으로는 움직임을 시작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것입니다. 언어적, 시각적 명령을 따르는 것과 행동을 모방하는 능력이 감소되기도 하는데요. 이는 일상생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좌절감과 우울감 같은 정서적 고통을 주기도 합니다.

실행증 치료핵심

아동에게서 발달적 실행장애가 나타날 시엔 면역치료로 퇴행을 막고 신경화학적인 정보전달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감각적인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한 감각통합치료도 같이 들어가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말초기관의 감각장애를 가진 아이는 마사지 말단운동 촉감놀이를, 처리속도장애를 가진 아이는 권투, 암산, 속독등의 빠른 반응활동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합처리장애를 가진 사람에게는 복잡한 정보를 다양하게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치료가 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뇌손상 관련 질환자는 병원에서 언어 치료, 작업 치료, 물리치료를 통해 개인의 운동능력과 기능적 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썸네일
실행증 검사

 

반응형